등재신청서 작성요령
▣ 등재 신청서 작성 요령 |
① 족보 등재 순서는 나이와 상관없이 남자 여자 순으로 등재한다.
② 형식은 국·한문 혼용으로 한다.
③ 이름은 한문으로 쓰고 한글을 병기 한다.
* 예 : 吉童(길동)
④ 기타 호칭 아래로는 개인별 내용을 기재한다.
⑤ 생·졸 년 월 일 기재
서기로 기재 함을 원칙으로 하고, 양력과 음력을 구분하며 연도를 환산하기 힘든 경우는 전 족보에 실린 간지(干支)를 그대로 적는다.
* 예 : 양력, 음력 란에 표시하고 일자를 적는다.
음력 란에 표시하고 을축(乙丑)등으로 표시.
⑥ 학력 및 학위 기재
최종 학력만 기재하되 박사의 경우는 추가 기재한다.
* 예 : 00학교 졸, 00박사 등으로 표시.
⑦ 경력 기재
경력 사항은 2개 이내로 하고, 그 대상은 국가기관, 공공기관, 재단법인 등으로 하고, 사단법인 등 임의 단체(부녀회장, 새마을 지도자 등과 사조직)는 제외 한다.
단, 40자 이내에서는 탄력적으로 허용(회사 사장, 임원급, 자영업 등)
* 예 : 행정·경찰·군인·교원 등, 제00회 고등고시 합격, 00재직 중 등.
⑧ 표창장 : 기초 지방자치단체장 이상 되는 직급에게서 받은 표창을 기재 한다.
⑨ 묘지 기재
· 묘지는 현재의 지번과 좌향을 상세히 기재하고 지명이 동일한 경우에는 혼동하지 않도록 기록한다.
* 예 : 강원도 고성, 경남 고성
· 부인과 묘지가 같이 있을 경우는 기록 끝부분에 합장, 쌍분 등으로 기재하고 비석이나 상석 유무도 같이 기재한다.
* 예 : 00군 00면 00리 00번지 00봉 유좌.
상석 또는 비석 유무, 공원묘지 안장 등.
⑩ 부인(配) 기재 방법
부인 또는 배(配)자를 쓰고 본관과 이름을 기재한다. 외명부가 있는 선조는 외명부를 적고 본관과 이름을 기재 한다. 아버지 이름과 본인 생·졸, 경력을 기재하고 효행등을 기재한다.
* 예 : 배(配) 숙인(淑人) 강릉0씨. 부는 00, 1999.5.5.일생, 0학교졸업, 00시 과장, 00효부상.
⑪ 여식, 사위 기재 방법
· 여식 : 순희
· 사위 : 부(夫)자를 쓰고 성명, 본관과 아버지 이름을 기재하고, 외손은 성별과 이름만 기재한다.
* 예 : 부 김00, 김해인, 부는 00, 자 00, 여 00
* 사위의 학력, 경력은 기재하지 않는다.
단, 고위공직자는 경력을 기재 하여도 된다. (기초 지방자치단체장 이상)
⑫ 등재 신청서의 수단 위원 란은 각 문중의 대표 수단 위원이 서명하여야 합니다.